개발 공부하기! 13

무료 IT 관련 서적 사이트!!

위키 독스 (Wikodocs) wikidocs.net/ 위키독스 온라인 책을 제작 공유하는 플랫폼 서비스 wikidocs.net 더 북 (TheBook) thebook.io/ 더북(TheBook) thebook.io 리디북스 (RidiBooks) 컴퓨터/IT 무료책 - 리디북스 (ridibooks.com) RIDIBOOKS 웹툰/웹소설, 전자책, 만화까지 취향에 딱 맞는 콘텐츠를 제안합니다. ridibooks.com 리얼타임 ebook 리얼타임 eBook (hanbit.co.kr) 리얼타임 eBook 한빛 리얼타임은 빠르게 변화하는 IT 기술의 핵심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IT 개발자를 위한 전자책입니다. www.hanbit.co.kr

블록 리소스 (css, javascript) 최적화시키기!

CSS 최적화 1. 배치 위치 CSSOM 트리가 구성되지 않으면 렌더 트리를 만들지 못하고 렌더링이 차단된다. 이러한 이유로 CSS는 렌더링 차단 리소스라고 하며 렌더링이 차단되지 않도록 CSS는 항상 HTML 문서 최상단( 2. 미디어 쿼리 사용 특정 조건에서만 필요한 CSS가 있을 때 미디어 쿼리를 사용하면 불필요한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해당 스타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로드할 수 있도록 만약, ... ...

Transaction이란!

트랜잭션이란? 트랜잭션은 작업의 완전성을 보장해주는 것이다. 즉, 논리적인 작업 셋을 모두 완벽하게 처리하거나 또는 처리하지 못할 경우에는 원 상태로 복구해서 작업의 일부만 적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만들어주는 기능이다.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로 이해를 할 수 있고 시스템의 입장에서는 데이터들을 접근 또는 변경하는 프로그램의 단위가 된다. 트랜잭션의 특성(ACID) 1. 원자성(Atomicity) 만약 트랜잭션 중간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한다면 트랜잭션에 해당하는 어떠한 작업 내용도 수행되어서는 안 되며 아무런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에만 모든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2. 일관성(Consistency) 트랜잭션이 완료된 다음의 상태에서도 트랜잭션이 일어나기 전의 상황과 동일하게 데..

HTTP와 HTTPS 차이

1.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브라우저와 서버 사이에서 정보를 평문으로 전송하므로 정보가 전달되는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엿볼 수 있다. 이런 보안 문제로 인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먼저 암호화 통신 채널을 설정한 다음 평문 HTTP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정보 유출을 막는 HTTPS(HTTP Secure)가 나타나게 되었다. 2.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HTTP 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이다. SSL(Secure Socket Layer) 프로토콜을 통해 세션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HTTPS는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암호화하는 SSL(Secure Socket Layer)프로토콜..

쿠키(Cookie)란?

1. 쿠키란? 쿠키(Cookie)는 웹 브라우저가 보관하는 데이터이다.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쿠키를 함께 전송하고 웹 서버는 웹 브라우저가 전송한 쿠키를 사용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읽게 해 준다. 2. 쿠키 동작 방식! 1단계 (쿠키 생성) : 웹 서버에서 생성한 쿠키를 응답 데이터 헤더에 저장하여 웹 브라우저에 전송 2단계 (쿠키 저장) : 웹 브라우저는 응답 데이터에 포함된 쿠키를 쿠키 저장소에 보관 3단계 (쿠키 전송) : 웹 브라우저는 저장한 쿠키를 요청이 있을 때마다 웹 서버에 전송 3. 쿠키 구성 요소! 이름 : 각각의 쿠키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이름(개발자가 지정할 수 있음) 값 : 쿠키의 이름과 관련된 값 유효시간 : 쿠키의 유효시간을 정해 놓으면 그 유효시간 동안 쿠키..

[Window10] 설치없이 폴더 용량 확인하기

인터넷이 안 되는 환경일 때 윈도우10 파일 폴더 용량 확인 방법이다.나는 회사에서 가상망과 내부망이 분리되어 있어 폴더 용량 확인 프로그램 설치 없이 C : 드라이브 정리를 해야 되는 상황이었다. 이 방법은 C : 드라이브에서 일일이 폴더 속성 클릭하여 확인하는 방법보다 효율적이다. - 방법 - 윈도우 > 설정 > 시스템 > 저장소에 가면 용량이 큰 순서대로 파일이 정렬되어 있다. 그 중 '기타 - 다른 큰 폴더 관리'를 클릭하면 용량이 큰 폴더 위주로 볼 수 있다. 필요 없는 파일을 지우면 된다! 단점은 전체 폴더의 용량을 확인 할 수 없다. - 끝! -구로 발령...!😳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mulateIE8"/>, 호환성 강제 랜더링

위 태그는 IE8을 포함하여 IE9 이상의 버전이라 하더라도 IE8의 엔진을 사용하라는 뜻으로 부분에 입력하는 태그로, 소스에서 강제로 호환성을 설정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IE에서 호환성 보기 설정을 하지 않아도 작동되게 한다. 아직 윈도우 XP 사용자도 많고 XP에서는 IE8까지만 설치할 수 있어 위 태그를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특정 ActiveX 프로그램의 경우 주로 상위 IE버전까지 지원을 해주지 않아서 호환성 문제로 프로그램 장애가 발생하기 때문에 위 태그를 사용하여 IE버전을 낮춰 주는 것이 좋다! - 종류 (아래로 갈수록 버전 높음) 여기서 마지막 부분의 "IE=edge"는 가장 최신 버전으로 랜더링 하겠다는 의미이다. 결론 : Chrome 쓰자 ~_~

주요 응답 상태 코드

1. 200 : JSP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경우 200 응답 코드 전송 2. 307 : 페이지를 리다이렉트 할 때 response.sendRedirect()를 이용할 경우 307 응답 코드 전송 3. 400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잘못된 구문으로 구성됐을 때 400 응답 코드 전송 4. 401 : 허용하지 않는 접근일 때 401 응답 코드 전송 5. 404 : 존재하지 않는 URL일 경우 404 응답 코드 전송 6. 405 : 요청한 메소드(GET, POST, HEAD 등)를 허용하지 않을 때 405 응답 코드 전송 7. 500 : 서버 내부에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 500 응답 코드 전송(JSP에서 익셉션이 발생할 경우) 8. 503 : 서버가 일시적으로 과부하일 경우나 서버가 임시 보수 중일 경우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