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쿠키란?
쿠키(Cookie)는 웹 브라우저가 보관하는 데이터이다.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쿠키를 함께 전송하고
웹 서버는 웹 브라우저가 전송한 쿠키를 사용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읽게 해 준다.
2. 쿠키 동작 방식!
1단계 (쿠키 생성) : 웹 서버에서 생성한 쿠키를 응답 데이터 헤더에 저장하여 웹 브라우저에 전송
2단계 (쿠키 저장) : 웹 브라우저는 응답 데이터에 포함된 쿠키를 쿠키 저장소에 보관
3단계 (쿠키 전송) : 웹 브라우저는 저장한 쿠키를 요청이 있을 때마다 웹 서버에 전송
3. 쿠키 구성 요소!
- 이름 : 각각의 쿠키를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이름(개발자가 지정할 수 있음)
- 값 : 쿠키의 이름과 관련된 값
- 유효시간 : 쿠키의 유효시간을 정해 놓으면 그 유효시간 동안 쿠키가 존재하며 웹브라우저를 종료해도 쿠키가 삭제되지 않는다.
- 도메인 : 쿠키를 전송할 도메인을 지정
- 경로 : 쿠키를 전송할 요청 경로
4. 쿠키의 도메인!
기본적으로 쿠키는 그 쿠키를 생성한 서버에만 전송된다.(도메인을 설정하지 않았을 때!)
예를 들어 "http://kkungspaw.tistory.com/"에 연결해서 생성된 쿠키는 다른 사이트에 연결할 때에는 전송되지 않으며 "http://kkungspaw.tistory.com"에 연결할 때에만 전송된다.
하지만 같은 도메인을 사용하는 모든 서버에 쿠키를 보내야 될 때가 많다.
이때 ". kkungspaw.tistory.com"도메인을 설정해주면 관련된 도메인에 모든 쿠키를 전송할 수 있다.
5. 쿠키의 유효시간!
쿠키의 유효시간을 지정해주지 않으면 웹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 쿠키를 함께 삭제한다. 하지만 쿠키의 유효시간을 정해 놓으면 그 유효시간 동안 쿠키가 존재하며 웹브라우저를 종료해도 쿠키가 삭제되지 않는다.
//60초 * 60 = 1시간
<%
cookie.setMaxAge(60*60)
%>
6. 쿠키 활용! (로그인 상태 유지)
로그인 상태를 확인할 때 쿠키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쿠키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 로그인에 성공하면 특정 이름을 갖는 쿠키를 생성한다.
- 해당 쿠키가 존재하면 로그인한 상태를 유지한다.
- 로그아웃하면 해당 쿠키를 삭제한다.
'개발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와 HTTPS 차이 (0) | 2021.03.15 |
---|---|
IE11 개발자도구 켜는 방법! (0) | 2021.02.04 |
[Window10] 설치없이 폴더 용량 확인하기 (1) | 2021.01.22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mulateIE8"/>, 호환성 강제 랜더링 (0) | 2021.01.21 |
주요 응답 상태 코드 (0) | 2021.01.03 |